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히말라야 소금의 기원

by 외건궁정 2022. 6. 20.

안녕하세요 외건궁정입니다.
요즘 부쩍 마트나 식탁에서 핑크빛의 아름다운
히말라야 소금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문득 이 히말라야 소금이 어디서 왔는지,
어떻게 히말라야 소금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는지
궁금해 집니다.

오늘은 히말라야 소금의 기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류와 소금의 역사


염화나트륨으로 구성된 광물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습니다.
돈, 의료용 방부제, 그리고 식이 보조제까지
역사적으로, 소금 매장량이 풍부한 지역에서는
소금이 주요 경제수단이였습니다.
이탈리아를 가로지르는 고대의 소금도로가 이 사실을 증명하고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소금은 귀하고 중요한 자원이였습니다.

 



21세기에는 아주 쉽게 소금을 접할 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많은 사회에서는 염분의 과잉 섭취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도달할 수 없었던 지하 깊은곳의 소금광산은
현대에 이르러 원활하게 채굴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암염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히말라야 소금 으로 알려진 분홍색의 암염입니다.
이 소금변이종은 흔히 알려진 건강상의 이점과,
뛰어난 맛, 아름다운 외관 으로 인해 유명해졌습니다.

현대의 치열한 소금 시장에서
다양한 마케팅 전략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히말라야 소금의
정확한 정보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알렉산더 대왕이 발견한 것으로 추정되는 히말라야 소금


기원전 336년부터 기원전 323년
알렉산더 대왕이 사망할 때까지
마케도니아의 왕이자 에게 해 연안에서
인도까지 뻗어 있는 제국의 통치자였으며
수천 년 동안 그는 세계 최고의
군사 사령관 중 한 사람으로 기억 되고 있습니다.
알렉산더의 명성은 아시아 에서의 한 군사작전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기원전 326년 파키스탄의 펀자브에 있는 젤룸 강에서
포루스 왕과 가장 치열한 전투를 벌인 후 알렉산더는 이 이상하고 낯선 땅에서 경이로운 발견을 하게됩니다.
알렉산더와 그 부하들은 근처의 바위를 핥기 시작했고
놀랍게도 바위에 염분이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알렉산더와 그의 군대가 2,000여 년 전에
파키스탄의 펀자브에서 처음으로 소금을 발견했지만,
상업적인 추출은 한 부족의 지도자들이 인도에 상업 광산을 설립 한 13세기에 시작되었습니다.

 

 

파키스탄 펀자브의 소금 산맥에서 독점적으로 채굴된 히말라야 소금


히말라야 소금이라는 이름은 눈으로 덮인 신화적인 봉우리, 안개로 뒤덮인 봉우리, 숨겨진 핑크색 보물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히말라야 소금이 히말라야 산맥에서
186마일 떨어진 곳에서 채굴된다는 것입니다.

솔트 산맥은 파키스탄의 펀자브 지방에 있는 작은 산맥입니다. 2,200피트 높이의 솔트산맥은 분명히 상상속의 히말라야 산맥의 다릅니다.
그러나 소금 매장량은 눈으로 보여지는 히말라야 산맥이 부럽지 않습니다.

솔트 레인지에 위치한 3개의 주요 광산인 케와라는
고갈되지 않은 매장량 을 제공하며 대략 67억 톤의 히말라야 소금 매장량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지역은 또한 Dandot, Pidh 및 Makarwāl Kheji에서 확인된 것으로 추정되는 2억 1,300 만 톤의 석탄 매장지와 다른 자원이 풍부 합니다.
대규모 석회암과 백운석 퇴적물도 이 지역에서 채굴되고 있습니다.

 

염분지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약 5천만년전, 인도 지각판과 유라시아 판 사이의 충돌은 히말라야와 티베트 고원을 형성했습니다.

하지만 동일한 지질학적 충돌로 인해 생성된 소금 산맥은 불과 몇 백만 년 전에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소금 산맥은 한때 두 대륙판이 충돌하는 동안 증발한
테티스 해 라고 불리는 얕은 바다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약 6억 년 전에 이 바다가 건조되고
그 안에 있는 소금이 결정화되어 펀자브 지역의 소금매장이 풍부해진 것으로 추측하고있습니다.

 

최고의 핫스팟, 케와라 솔트 산맥의 히말라야 소금


110제곱킬로미터의 케와라솔트 산맥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소금 광산이며 연간 약 325,000톤의 히말라야 소금을 생산합니다.

솔트 레인지에 위치한 이 광산은 7개의 소금 광맥에 접근할 수 있으며, 합치면 두께는 약 150미터나 됩니다.

그러나 이 모든 소금을 채굴할 수는 없습니다.
자연적으로 생산된 소금광산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소금양인 약 절반가량을 남겨두어야 합니다.

이 광산은 전자 철도 , 모스크 , 소금으로 만든 세계 유일의 우체국 등 다양한 편의 시설과 관광시설이 있으며, 이러한 이색적이고 아름다운 장소는 매년 5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다녀갑니다.

파키스탄 정부는 관광상품으로써의
소금광산을 개발하고 있으며, 광산 내부에 리조트를 건설하고 소금광산의 입자를 통한 힐링클리닉을 운영중입니다.

우리의 식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히말라야 소금,
히말라야 소금에 얽힌 이야기는 어떠셧나요?
여러분들의 상식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다음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