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하루에 일정시간 이상 VR 헤드셋을 착용하면 시력이 손상된다는 트윗을 남겼습니다.
VR기술 눈건강에 약인가 독인가?
안과 전문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시력 문제에 대해, VR기술이 시력에 미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며 앞으로 있을 많은 사람들의 VR 사용에 대해 우려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의견으로 VR 헤드셋이 영구적인 눈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증거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하니, 객관정인 정보를 얻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메타(페이스북)의 대표 VR헤드셋인 오큘러스(Oculus)의 매뉴얼을 보면 4,000명 중 1명이 "어지러움, 발작, 눈 또는 근육 경련"을 겪을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고. 이러한 증상이 있는 사용자는 헤드셋 사용을 중단하고 의사의 진찰을 받을 것을 권장합니다.
의사들은 컴퓨터가 생성한 시뮬레이션인 가상 현실은, 일반적인 우리의 시각 자극과 달리, 뇌에서 다른 방식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에 대한 증거로 일부 사용자들의 후기를 보면, VR헤드셋을 사용할 때 메스꺼움과 어지러움에 대한 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은 사용자가 주변 공간을 인식하는 방식을 다르게 하여 멀미를 유발합니다.
4년 동안 가상 현실 개발자로 일한 전문가의 의견
이 가상현실 전문가는 VR사용이 자신의 시력에 문제를 발생시켰다고 확신하고 있었습니다. 가상현실 업무를 맡은 지 3년 만에 안과를 처음 방문했는데, 난독증과 같은 시력 문제를 진단받았고, 화면이나 책 같은 것을 읽을 때 눈에 두근거림이 느껴지며 증상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그런 증상은 심화되어 두통과 현기증으로 이어진다고 하였습니다.
이 개발자는 업무상 피치 못하게 권장 사용시간보다 더 많이 VR환경에 노출되었고, 그런 부분이 눈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인정했습니다, 또한 VR 헤드셋 사용 예정인 사람들에게 하루에 최대 6시간 사용, 중간에 최소 30분 이상의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시력검정 전문가의 의견
다른 전문가는 VR 헤드셋을 사용했지만 시력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일부의 사람들은 메스꺼움, 건조함, 눈의 과민반응, 두통 또는 눈의 피로와 같은 일시적인 증상이 생길 수 있음을 인정하고, 다음과 같이 조언했습니다.
"하루 종일 VR을 쉬지 않고 사용한다면 눈은 현실 세계의 빛과 다른 환경에 적응할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1시간마다 10분의 휴식을 취하고, 그 시간을 사용하여 눈을 깜빡이는 등의 안구 운동이나, 멀리 있는 산을 보며 초점을 맞추는 등 눈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적극적인 조치를 해주어야 합니다."
최적의 VR헤드셋 사용시간
사람이 편안하게 견딜 수 있는 헤드셋 사용 시간은 양안 시력 상태와 VR에서 수행하는 작업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이에 맞추어 VR 개발자들은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권장 사용시간을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VR헤드셋이 시력에 도움이 될 순 없을까?
신생 기업인 GiveVision은 시력이 악화된 사람들에게 현실 세계의 디스플레이를 망막의 일정부분에 투사하여 시력을 회복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SightPlus라는 장치를 만들었습니다.
Moorfields Eye Hospital의 임상 시험에 따르면 참가자 60명 중 59명의 시력이 개선되었으며 거의 절반이 TV 시청, 독서 또는 극장에 갈 때 이 장치를 착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회사는 다음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Sony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가상현실 VR의 긍정적인 면
VR헤드셋을 활용한 가상현실의 긍정적인 면도 적지 않습니다.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가상현실(VR)이 활용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것은 최초의 가상현실 연구 프로젝트의 일부이며,
VR 영화 제작자 Ben Malone은 VR이 6주 동안 환자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습니다. 프로젝트의 결과는 Keele University에서 분석 중이며, 좋은 결과를 통해 다른 환자에게도 적용될 수 있도록 기대 중에 있습니다.
가상현실 VR의 긍정적인 면모는 주목할 만 하나, 신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 좀 더 신중히, 안전하게 연구하고 적용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소비자는 꼭 관련 가이드를 참고하여 사용하고 관련 기업들은 연구를 거듭하여 인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개발해야 할 것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약을 중단해도 괜찮을까? (0) | 2021.10.01 |
---|---|
코로나19와 독감 동시에 걸릴 수 있다? (0) | 2021.09.30 |
금연하는법 5가지 (0) | 2021.09.26 |
임신 중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먹어도 괜찮을까? (0) | 2021.09.25 |
편두통의 원인과 해결방법 (0) | 2021.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