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외건궁정 입니다.
최근 건강상의 문제 외에도 미용목적으로 교정을 하시는 분들이 크게 늘어났는데요.
교정장치를 제거하면 모든 게 끝난 것이라 생각하지만, 사실 그 이후 리테이너(교정기 유지장치)를 통한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
잠깐의 귀찮음과 불편함으로 리테이너를 착용하지 않는다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또 유지장치를 청결하게 관리하지 못한다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지창치를 사용하는 이유
다양한 유형의 유지장치가 있지만 목적은 하나입니다, 교정 후 움직인 치아를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입니다.
유지장치의 종류
일부 유형의 유지장치는 완전 고정형으로 치아 후면에 영구적으로 부착됩니다. 고정형 유지장치는 치아 후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노출이 적지만, 인공적인 보형물로 인한 일상에서의 불편함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탈착식 유지장치는 플라스틱과 와이어를 사용하여 착용자의 입에 고유한 모양의 몰드를 만듭니다. 필요에 의해서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지만 착용 중에는 노출이 잘 된다는 단점이 있고,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유지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당신에게
유지장치를 하루나, 이틀 정도 착용하지 않는다면, 이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고 또 당장의 큰 영향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당장의 편안함으로 이런 행동이 습관화된다면, 오랫동안 교정을 위해 노력해왔던 일이 물거품이 될지도 모릅니다.
우리의 치아는 습관을 지닌 부위입니다, 교정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초기 상태로 돌아가려고 할 것입니다.
치아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은 "mesial drift"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지장치는 그 움직임을 방지해 주는 바리케이드 역할을 합니다.
유지 장치를 정기적으로 착용하지 않는다면, 교정 전 상태로 돌아가는 움직임을 막을 수 없게 됩니다.
유지장치를 얼마나 착용해야 하나요?
치아 이동은 나이가 들면서 느려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유지장치를 착용해야 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보철식 유지 장치의 경우 교정 후 처음 3~6개월 동안은 식사나 양치시간을 제외하고 하루 중 최소 22시간 동안 이러한 유지 장치를 착용해야 하며 이후 2년 동안은 야간에만 착용하도록 조절됩니다. 3년차 부터는 유지장치 사용시간을 더 줄이고 격일로 수면 시에만 착용하여 구강의 움직임을 막고, 휴식도 취할 수 있습니다.
유지장치가 청결하지 못하면 발생하는 일.
유지장치 청소를 건너뛰는 것은, 눈에 즉시 보이진 않지만 건강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지장치를 착용할 때 구강에서 발견되는 천연 박테리아와 접촉합니다. 일부 박테리아는 치아 표면의 에나멜을 부식시키고 충치를 촉진하여 치아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UCL Eastman Dental Institute에서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참가자의 유지 장치 중 50%에서 질병을 유발하는 미생물이 자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적절한 관리가 되지 않는다면 이 미생물이 입에 축적될 수 있고, 면역이 저하된 사람들에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
유지장치를 관리하는 법.
- 반드시 사용 전 후에 손을 씻을 것.
- 주 1회 이상 전용 케이스에서 세척.
- 정기적인 케이스 세척.
- 건조한 장소에 보관.
- 칫솔과 치약을 통한 유지장치 칫솔질.
유지장치만 관리하면 되나요?
사실 교정 유지장치는 우리 치아와 바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유지장치 관리 못지않게 치아의 직접적인 관리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양치 관리는 기본이고, 치실을 규칙적으로 사용하여 구강 건강을 관리해 주어야 합니다.
힘들었던 교정을 통해, 마음껏 웃지도 못하고 고생해서 얻은 가지런한 치아를 잃어버린다면, 참 마음이 아플 것 같습니다. 조금 귀찮더라도 주기적인 교정기 유지장치와 구강 관리를 통해 교정이 준 선물을 잃지 않으시길 바라겠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가 좋은 사람들이 매일 하는 일 (0) | 2022.06.21 |
---|---|
카페인을 줄여야 하는 몸의 건강 이상 신호 (0) | 2021.11.02 |
과체중, 비만과 수면 무호흡증의 관계 (0) | 2021.10.28 |
11월에 태어난 아기가 특별한 과학적 이유 (0) | 2021.10.27 |
월경전증후군(PMS) 증상 완화를 위한 최고의 영양 보조제 (0) | 2021.10.26 |
댓글